라벨이 고속도로인 게시물 표시

고속도로 소형차 전용 차로 기준, 자동차 대·중·소형 차량 구분

이미지
자동차는 그 크기와 용도에 따라서 다르게 분류합니다. 고속도로를 다니다 보면, 소형차 전용 차로가 있습니다.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위해 소형차량이 다닐 수 있는 길을 하나 더 확보하고 있는 것인데, 어떤 차량이 다닐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형차, 중형차, 대형차 기준 우리가 흔히 자동차를 구분할 때  대·중·소로 구분하는데, 이 기준은 자동차관리법의 배기량 및 차량 크기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기준 배기량 차량 크기 경차 1,000cc 이하 길이 3,600mm X 너비 1,600mm X 높이 2,000mm 소형차 1,600cc 이하 길이 4,700mm X 너비 1,700mm X 높이 2,000mm 중형차 2,000cc 이하 길이, 너비 높이 중에서 하나라도 소형차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대형차 2,000cc 이상 길이, 너비 높이 모두가 소형차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고속도로에서는 자동차관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과는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기준을 알아보겠습니다. 고속도로 소형차 전용 도로 고속도로 진출입로나 혼잡 구간에 설치된 '소형차 전용도로'는 배기량이 아닌 차량의 '용도와 크기'를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한국도로공사의 소형차 기준을 적용받게 되는데, 고속도로에서는 승용 목적의 차량은 모두 소형차에 포함됩니다.  차종 조건 소형차...

고속도로 1차선 정속주행, 과태료 같은 처벌 및 단속 기준이 있을까?

이미지
국도와 다르게 고속도로는 차선에 정해진 차량이 통행해야하는 지정차로제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1차선 정속주행에 대해 특별히 단속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단속을 하기도하고, 신고도 가능합니다. 고속도로 1차선 주행에 대한 올바른 주행 규칙을 알아보겠습니다. 고속도로 지정차로제 도로교통법 제60조와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39조의 내용을 보면 차로에 따른 통행차의 기준 정의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편도 2차로에서 1차로는 앞지르기를 하려는 모든 자동차만 이용 할 수 있다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1차선은 추월차선으로 1차선만을 계속 이용하는 것은 불가합니다. 추월의 목적으로 앞지르기 이후에는 바로 주행차로로 돌아와 야 합니다. 1차로 추월차선에서도 규정된 제한 속도는 준수 해야 합니다. 벌금과 벌점 1차선만을 이용해 계속 주행하는 것은 도로교통법 60조 1항에 의거하여 범칙금 40,000원(승용차 기준/승합차의 경우 50,000원)과 벌점 10점 부과 대상입니다. 지정차로제 지정차량 고속도로 지정차로제에 따라 중앙선을 기준으로 왼쪽부터 1차선이고, 추월차선, 주행차선 순으로 주행하면 됩니다. 4차선 고속도로 기준 2차로 이상은 일반 승용차, 승합자 등이 사용하는 일반 주행 차로 3차선은 보통 대형승합차(36인 이상) 1.5t이하 화물차의 주행 차로 4차선의 경우 1.5t 초과 화물차와 특수차 및 건설차의 주행 차로

포트홀 사고와 보상 신청방법, 포트홀 사고 대처 방법

이미지
비가 많이 내리고 나면 도로에 움푹 패어 있는 포트홀을 볼 수 있습니다. 작은 도로 파임으로도 차량이 덜컹거리고, 자칫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는데, 피해를 입게 된다면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알보겠습니다. 포트홀 사고 시 대처와 보상 신청 방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포트홀 사고 대처 방법 작은 포트홀로 사고가 나지는 않지만, 포트홀로 인해 차가 크게 덜컹이거나 타이어가 펑크 또는 파손 시에는 제대로 조향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양손으로 핸들을 단단히 잡고, 급가속 또는 급제동은 하지 않습니다.  주변의 상황을 확인하고, 안전한 갓길로 정차합니다. 차량에서 하차 후에는 안전한 곳으로 대비합니다. 견인 또는 경찰에 신고가 필요한 경우 신고를 합니다. 보상 청구 포트홀로 인해 차량에 손상이 발생했을 경우 어디에서 보상을 받아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사고 발생 지점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지자체 및 한국도로공사로 부터 보상 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차량 수리 비용을 보상 받지 못할 경우 전액 자비로 부담해야 할 수 있으니 정확한 증빙 자료로 보상을 받도록 합니다. 사고 당시 할 일 차량 전후방, 타이어 상태, 노면 및 포트홀 위치를 영상·사진으로 다양하게 찍기 블랙박스 영상 및 고속도로의 경우 톨게이트 통행 내역 등 자료 확보 타이어, 휠, 하부 등 차량 파손 부위 확인하기 긴급출동 서비스, 경찰 신고 등을 통해 사고 기록하기 ※추후 자료 제출을 위해 보험사 비상출동 확인서 및 경찰 출동 확인서 발급 필요한 서류 사고 당시 찍은 현장 영상 및 사진 수리 견적서 (정비소 및 공업사에서 발급) 수리 영수증 차량 소유를 확인할 수 있는 자동차 등록증(사본) 등 사고 순간을 녹화한 블랙박스 영상 고속도로 톨게이트 또는 GPS...